본문 바로가기
정부지원금

2025년 7월 아파트 취득세 6억 초과 9억 이하 구간별 세율 계산법

by Better Day, Better Me 2025. 6. 28.

 

아파트 취득세 6억 초과 9억 이하 구간별 세율 계산법

 

부동산을 구매할 때 가장 큰 추가 비용 중 하나가 바로 아파트취득세인데요. 특히 2025년 7월부터 적용되는 6억 초과 9억 이하 구간의 취득세는 어떻게 계산하는지 헷갈리는 분들이 많으실 거예요. 오늘은 이 구간의 세율 계산법을 쉽게 알려드릴게요!

 

계산식이 뭐예요?

복잡한 세금 계산 공식을 도표와 차트로 설명하는 금융 전문가

6억 초과 9억 이하 아파트를 구매할 때 적용되는 취득세 계산식은 조금 특별해요. (취득가액 × 2/3억원 - 3) × 1/100이라는 공식을 사용하게 됩니다. 이 공식은 1주택자에게만 적용되는 혜택이에요. 만약 2주택 이상이거나 조정대상지역 주택을 구매한다면 다른 세율이 적용되니 주의하세요!

 

예를 들어, 7억 6천만 원짜리 아파트를 구매한다면:

 

- 계산식: (7.6억 × 2/3 - 3) = 5.066억 - 3 = 2.066억

 

- 세율로 환산: 2.066억 × 1/100 = 2.066%

 

- 실제 취득세: 7.6억 × 2.066% = 1,572만 원

 

이 공식의 특징은 6억을 초과하는 순간부터 1%의 기본세율 대신 점진적으로 세율이 올라간다는 점이에요. 가격이 올라갈수록 세율도 조금씩 높아지는 구조랍니다.

예시로 보는 계산법

특정 아파트 구매 시 세금 계산을 디지털 화면으로 상세히 보여주는 모습

실제 사례로 7억 6천만 원 아파트 구매 시 납부해야 할 세금을 자세히 계산해볼게요.

 

1. 취득세: 앞서 계산한 대로 7.6억 × 2.066% = 1,572만 원

 

2. 지방교육세: 취득세의 10%를 추가로 내야 해요. 1,572만 원 × 10% = 157.2만 원

 

3. 농어촌특별세: 전용면적이 85㎡를 초과하면 0.2%가 추가돼요. 하지만 7억 6천만 원대 아파트는 보통 85㎡ 미만이라 적용되지 않을 가능성이 커요.

 

따라서 총 납부 세금은 1,572만 원 + 157.2만 원 = 1,729.2만 원이 됩니다. 이 예시는 2024년 8월 네이버 블로그에 게시된 실제 사례를 참고했어요.

 

 

다른 구간과 비교하면?

한국의 아파트 가격대별 세율을 비교하는 차트

아파트취득세는 가격 구간별로 세율이 다르게 적용돼요. 아래 표를 통해 한눈에 비교해 보세요.

 

구간 1주택자 세율 2주택자 세율
6억 이하 1% 1% (비조정지역)
6억~9억 (2/3억원 × 가액 -3) × 1/100 8% (조정지역)
9억 초과 3% 12% (조정지역)

 

표에서 볼 수 있듯이, 6억 초과 구간부터는 1%에서 시작해 점점 세율이 증가하다가 9억을 넘어가면 바로 3%로 확 뛰어올라요. 특히 2주택자는 조정대상지역에서 아파트를 구매할 경우 무려 8%라는 높은 세율이 적용된답니다.

 

추가로 납부해야 할 세금

아파트 구매 관련 추가 세금을 검토하며 집에서 논의하는 커플

아파트취득세 외에도 별도로 납부해야 할 세금들이 있어요.

 

- 농어촌특별세: 전용면적이 85㎡를 초과하는 아파트를 구매할 때만 0.2%가 추가됩니다.

 

- 지방교육세: 취득세의 10%가 자동으로 계산되어 부과돼요.

 

예를 들어 8억 원짜리 아파트를 구매한다면:

 

- 취득세: (8억 × 2/3 - 3) × 1/100 = 2.333% → 8억 × 2.333% = 1,866만 원

 

- 지방교육세: 1,866만 원 × 10% = 186.6만 원

 

- 총 납부 세금: 1,866만 원 + 186.6만 원 = 2,052.6만 원

 

이렇게 추가 세금까지 계산해야 실제 내야 할 총액을 정확히 알 수 있어요.

주택 수에 따른 차이점

아파트취득세는 보유한 주택 수에 따라 세율이 크게 달라져요.

 

- 1주택자: 6억~9억 구간에서는 앞서 설명드린 공식을 적용받아요.

 

- 2주택자:

 

- 조정대상지역: 무조건 8%의 높은 세율이 적용돼요.

 

- 비조정지역: 1주택자와 동일한 계산식이 적용됩니다.

 

3주택 이상 보유자는 어디서든 12%라는 매우 높은 중과세가 적용되고, 법인이 아파트를 구매하는 경우에도 전국 어디서나 12%가 부과된답니다. 주택 수에 따른 세율 차이가 매우 크니 구매 전에 꼭 확인하세요!

 

 

감면 조건이 있나요?

한국의 첫 주택 구매자를 위한 감면 혜택에 대해 조언하는 세무 상담사

2025년 현재 6억~9억 구간의 아파트취득세에 대한 일반적인 감면 정책은 특별히 없어요. 하지만 무주택자가 생애 처음으로 주택을 구매하는 경우에는 0.8%~1.1% 정도의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답니다.

 

이 혜택을 받으면 6억 초과 구간이라도 기본세율이 낮아지게 되어 세금 부담이 줄어들어요. 다만 이 혜택은 특정 조건을 충족해야만 적용되기 때문에, 본인이 해당되는지 여부는 세무서에 직접 문의해보는 것이 좋아요.

 

실제 사례 분석

8억 원짜리 아파트를 구매하는 실제 사례를 통해 세금을 계산해볼게요.

 

1. 취득세 계산: (8억 × 2/3 - 3) × 1/100 = 2.333%

 

2. 총 세금: 8억 × 2.333% = 1,866만 원 (취득세) + 186.6만 원 (교육세) = 2,052.6만 원

 

만약 이 아파트가 9억을 넘었다면 3% 세율이 적용되어 8억 × 3% = 2,400만 원의 취득세가 부과됐을 거예요. 교육세까지 포함하면 2,640만 원으로, 9억 미만일 때보다 약 600만 원 정도 더 많은 세금을 내게 됩니다. 따라서 가능하다면 9억 미만에서 구매하는 것이 세금 측면에서는 유리해요.

 

2025년 주요 변경점

2025년 세법 개정안에 따르면 조정대상지역이 확대되고 중과세가 강화되는 것이 주요 변경점이에요. 2주택자에 대한 8% 세율은 기존과 같지만, 조정지역이 더 넓어짐에 따라 해당 지역에서 주택을 구매할 때 추가 부담이 생길 수 있어요.

 

또한 3주택 이상 보유자에 대한 12% 중과세율은 그대로 유지되고, 법인이 소유하는 아파트에 대한 12% 세율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부동산 정책 변화에 따라 세율이 달라질 수 있으니 구매 전에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해요.

 

 

아파트 취득세 계산, 이것만 기억하세요!

2025년 7월부터 적용되는 6억 초과 9억 이하 아파트취득세 계산법을 잘 기억해두세요. 특히 주택 수와 조정대상지역 여부에 따라 세율이 크게 달라질 수 있으니, 구매 계획이 있으신 분들은 미리 세금 계산을 해보는 것이 현명해요. 9억을 넘으면 세율이 급격히 올라가니 예산 계획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