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을 구매할 때 가장 큰 추가 비용 중 하나가 바로 아파트취득세인데요. 특히 2025년 7월부터 적용되는 6억 초과 9억 이하 구간의 취득세는 어떻게 계산하는지 헷갈리는 분들이 많으실 거예요. 오늘은 이 구간의 세율 계산법을 쉽게 알려드릴게요!
계산식이 뭐예요?

6억 초과 9억 이하 아파트를 구매할 때 적용되는 취득세 계산식은 조금 특별해요. (취득가액 × 2/3억원 - 3) × 1/100이라는 공식을 사용하게 됩니다. 이 공식은 1주택자에게만 적용되는 혜택이에요. 만약 2주택 이상이거나 조정대상지역 주택을 구매한다면 다른 세율이 적용되니 주의하세요!
예를 들어, 7억 6천만 원짜리 아파트를 구매한다면:
- 계산식: (7.6억 × 2/3 - 3) = 5.066억 - 3 = 2.066억
- 세율로 환산: 2.066억 × 1/100 = 2.066%
- 실제 취득세: 7.6억 × 2.066% = 1,572만 원
이 공식의 특징은 6억을 초과하는 순간부터 1%의 기본세율 대신 점진적으로 세율이 올라간다는 점이에요. 가격이 올라갈수록 세율도 조금씩 높아지는 구조랍니다.
예시로 보는 계산법

실제 사례로 7억 6천만 원 아파트 구매 시 납부해야 할 세금을 자세히 계산해볼게요.
1. 취득세: 앞서 계산한 대로 7.6억 × 2.066% = 1,572만 원
2. 지방교육세: 취득세의 10%를 추가로 내야 해요. 1,572만 원 × 10% = 157.2만 원
3. 농어촌특별세: 전용면적이 85㎡를 초과하면 0.2%가 추가돼요. 하지만 7억 6천만 원대 아파트는 보통 85㎡ 미만이라 적용되지 않을 가능성이 커요.
따라서 총 납부 세금은 1,572만 원 + 157.2만 원 = 1,729.2만 원이 됩니다. 이 예시는 2024년 8월 네이버 블로그에 게시된 실제 사례를 참고했어요.
다른 구간과 비교하면?

아파트취득세는 가격 구간별로 세율이 다르게 적용돼요. 아래 표를 통해 한눈에 비교해 보세요.
구간 | 1주택자 세율 | 2주택자 세율 |
---|---|---|
6억 이하 | 1% | 1% (비조정지역) |
6억~9억 | (2/3억원 × 가액 -3) × 1/100 | 8% (조정지역) |
9억 초과 | 3% | 12% (조정지역) |
표에서 볼 수 있듯이, 6억 초과 구간부터는 1%에서 시작해 점점 세율이 증가하다가 9억을 넘어가면 바로 3%로 확 뛰어올라요. 특히 2주택자는 조정대상지역에서 아파트를 구매할 경우 무려 8%라는 높은 세율이 적용된답니다.
추가로 납부해야 할 세금

아파트취득세 외에도 별도로 납부해야 할 세금들이 있어요.
- 농어촌특별세: 전용면적이 85㎡를 초과하는 아파트를 구매할 때만 0.2%가 추가됩니다.
- 지방교육세: 취득세의 10%가 자동으로 계산되어 부과돼요.
예를 들어 8억 원짜리 아파트를 구매한다면:
- 취득세: (8억 × 2/3 - 3) × 1/100 = 2.333% → 8억 × 2.333% = 1,866만 원
- 지방교육세: 1,866만 원 × 10% = 186.6만 원
- 총 납부 세금: 1,866만 원 + 186.6만 원 = 2,052.6만 원
이렇게 추가 세금까지 계산해야 실제 내야 할 총액을 정확히 알 수 있어요.
주택 수에 따른 차이점
아파트취득세는 보유한 주택 수에 따라 세율이 크게 달라져요.
- 1주택자: 6억~9억 구간에서는 앞서 설명드린 공식을 적용받아요.
- 2주택자:
- 조정대상지역: 무조건 8%의 높은 세율이 적용돼요.
- 비조정지역: 1주택자와 동일한 계산식이 적용됩니다.
3주택 이상 보유자는 어디서든 12%라는 매우 높은 중과세가 적용되고, 법인이 아파트를 구매하는 경우에도 전국 어디서나 12%가 부과된답니다. 주택 수에 따른 세율 차이가 매우 크니 구매 전에 꼭 확인하세요!
감면 조건이 있나요?

2025년 현재 6억~9억 구간의 아파트취득세에 대한 일반적인 감면 정책은 특별히 없어요. 하지만 무주택자가 생애 처음으로 주택을 구매하는 경우에는 0.8%~1.1% 정도의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답니다.
이 혜택을 받으면 6억 초과 구간이라도 기본세율이 낮아지게 되어 세금 부담이 줄어들어요. 다만 이 혜택은 특정 조건을 충족해야만 적용되기 때문에, 본인이 해당되는지 여부는 세무서에 직접 문의해보는 것이 좋아요.
실제 사례 분석
8억 원짜리 아파트를 구매하는 실제 사례를 통해 세금을 계산해볼게요.
1. 취득세 계산: (8억 × 2/3 - 3) × 1/100 = 2.333%
2. 총 세금: 8억 × 2.333% = 1,866만 원 (취득세) + 186.6만 원 (교육세) = 2,052.6만 원
만약 이 아파트가 9억을 넘었다면 3% 세율이 적용되어 8억 × 3% = 2,400만 원의 취득세가 부과됐을 거예요. 교육세까지 포함하면 2,640만 원으로, 9억 미만일 때보다 약 600만 원 정도 더 많은 세금을 내게 됩니다. 따라서 가능하다면 9억 미만에서 구매하는 것이 세금 측면에서는 유리해요.
2025년 주요 변경점
2025년 세법 개정안에 따르면 조정대상지역이 확대되고 중과세가 강화되는 것이 주요 변경점이에요. 2주택자에 대한 8% 세율은 기존과 같지만, 조정지역이 더 넓어짐에 따라 해당 지역에서 주택을 구매할 때 추가 부담이 생길 수 있어요.
또한 3주택 이상 보유자에 대한 12% 중과세율은 그대로 유지되고, 법인이 소유하는 아파트에 대한 12% 세율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부동산 정책 변화에 따라 세율이 달라질 수 있으니 구매 전에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해요.
아파트 취득세 계산, 이것만 기억하세요!
2025년 7월부터 적용되는 6억 초과 9억 이하 아파트취득세 계산법을 잘 기억해두세요. 특히 주택 수와 조정대상지역 여부에 따라 세율이 크게 달라질 수 있으니, 구매 계획이 있으신 분들은 미리 세금 계산을 해보는 것이 현명해요. 9억을 넘으면 세율이 급격히 올라가니 예산 계획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